사랑은 감정이 아니다.
이 책은 사랑이 뇌와 미토콘드리아의 트리거로 작동되는 ‘구조’임을 밝힌다.
호르몬의 비율, 오감의 활성화, 감정의 프레임 전환,
존경과 신뢰, 무한 에너지 상상까지
‘사랑’을 가장 과학적으로, 동시에 따뜻하게 풀어낸 혁신적 시도다.
사랑을 해본 적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은 새로운 인식의 문을 열어줄 것이다.
1장 왜 우리는 이성을 좋아할까?
2장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은 누구나 가지고 있다
3장 2차 성징과 비율의 변화
4장 동성애도 이런 비율로 볼 수 있다
5장 동성애에 대한 연구결과
6장 성전환과 트리거
7장 비율은 트리거일 뿐이다
8장 외모가 중요하다
9장 왜 동물은 얼굴이 아닌 힘에 끌리는가
10장 인간의 사랑도 힘이 필요하다
11장 편도체와 혐오
12장 오감의 활성화
13장 완전한 사랑은 세 단계를 통과해야 한다
14장 옥시토신
15장 사랑은 아이를 낳기 위해 하는 걸까?
16장 만약 인간이 무한한 에너지를 가진다면
17장 사랑을 실패한 당신에게 하고 싶은 말
18장 무한의 에너지를 가졌다면 사랑을 굳이 했을까
19장 사랑과 외상 후 성장
20장 원리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21장 지금까지 이야기 정리
22장 마무리 인사
안녕하세요 뇌과학을 연구하는 이재근입니다
저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 학과 박사수료후
여러 학문을 융합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프레임학문 체계를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