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는 거짓말하고 속이고 부인하고 전가하고 정당화하는 혼돈의 시대이다. 세상이 왜 이렇게 거짓말하는 것이 당연한 시대가 되었는가? 어릴 적부터 거짓말은 나쁜 것이라고 배워왔다. 진실을 말하는 것이 도덕적이며, 거짓은 부끄럽고 비겁한 행위라는 가르침은 가정, 학교, 사회 곳곳에서 반복되어 왔다. 그러나 이 단순한 도덕적 명제는 실제 삶의 복잡성과 마주할 때마다 허물어지기 일쑤다. 정직함이 불이익을 가져오고, 반대로 교묘한 거짓말이 개인적 이익과 생존의 수단이 되는 현실 속에서 우리는 '거짓말의 역설'을 마주하게 된다. 이 책은 바로 그 역설에 대한 탐구다. 왜 인간은 거짓말을 하고, 어떻게 쉽게 속으며, 때로는 왜 거짓말이 그토록 성공적인 전략이 되는지를 밝히려 한다.
거짓말은 단순히 사실을 숨기거나 왜곡하는 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감정, 욕망, 두려움, 사회적 구조, 도덕성, 인지 능력, 그리고 생존 본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이고 전략적인 행동이다. 사람들은 거짓말을 통해 갈등을 회피하고, 체면을 지키며, 때로는 누군가를 보호하거나 자신을 유리한 위치로 끌어올리기도 한다. 어빙 고프만은 거짓말을 도덕적 결함이 아닌 사회적 기술이라고 한다. ‘착한 거짓말’이라는 표현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거짓말에 대한 도덕적 판단이 얼마나 유동적인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거짓말은 나쁜 행위로 낙인찍기에는 너무나도 일상적이며, 때로는 필요한 악(惡)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거짓말은 영리한 자의 처세술처럼 보일 뿐만 아니라 강력한 전염효과까지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거짓말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거짓말은 언제나 신뢰를 해치고, 인간관계를 파괴하며, 공동체의 윤리적 기반을 흔들 수 있는 위험한 도구이기도 하다. 그러나 거짓말은 인간 본성의 일부로 고착되어 있으며, 난세일수록 그 현상은 더욱 심하다. 거짓말은 영리한 자의 처세술이 아니라 사악하고 교활한 자의 속임수이다.
본 「거짓말의 역설: 속이는 자와 속는 자」는 속임수 기법과 탐지 기법을 명쾌하고 상세하게 집대성한 책이다. 제1편에서는 인간은 왜 거짓말을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 질문으로 시작한다. 거짓말의 동기와 심리적 배경, 사회적 이유,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거짓말의 작동 원리를 해부한다. 학자들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 거짓말의 정의와 구성 요건을 고찰하고, 거짓말하는 사람들의 행동 유형과 심리적 특성을 유형화하여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거짓말이 단순히 개인의 결함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과 심리적 조건의 산물이라는 점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제2편은 ‘거짓말 탐지’에 초점을 맞춘다. 사람은 왜 거짓말을 하며, 어떻게 들키는가? 폴 에크만(Paul Ekman)의 감정 이론과 피노키오 증후군, 기만의 감정 요소(공포, 죄책감, 수치심, 쾌감)를 기반으로, 거짓말이 감정적 긴장을 동반하고 그 결과로 신체적 · 언어적 신호를 남긴다는 사실을 탐구한다. 속임수는 어떻게 구성되고, 속이는 사람은 어떤 행동 패턴을 보이는가? 거짓말은 ‘발각’이라는 리스크를 감수하며 수행되는 전략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는 반드시 신체적, 정서적, 생리적 흔적이 남기 마련이다.
특히 신체언어, 안면단서, 눈의 움직임, 어깨, 손, 다리와 발의 제스처 등 비언어적 신호에 주목한 분석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드러나는 ‘속임수의 흔적’을 발견하는 단서가 된다. 이 책은 단지 ‘거짓말을 잡아내는 법’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거짓말이 발현되는 심리적 · 사회적 배경을 통찰함으로써, 인간 이해의 깊이를 더하고자 한다.
거짓말은 영리한 자의 처세술인가? 아니면 인간의 사악하고 타락한 이기심인가? 거짓말은 분명 인간의 어두운 그림자다. 그것은 숨기고 싶지만, 늘 우리 안에 존재하며, 때로는 필요악으로 작동한다. 이 책은 그 그림자를 정면으로 응시하며 묻는다. 우리는 정말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 그리고 우리는 지금, 누구의 거짓말에 속고 있는가? 이 질문에서 시작된 탐구는 결국 인간의 본성과 진실, 그리고 신뢰라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로 이어진다.
제1편 거짓말 9
01. 인간은 왜 거짓말을 하는가? 11
02. 거짓말에 속는 이유 17
03. 거짓말이 나쁜 이유 20
04. 거짓말하는 사람의 특징 25
05. 거짓말 행동의 특성 30
06. 거짓말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 37
07. 거짓말의 구성 요건 49
08. 거짓말의 종류 54
09. 거짓말 동기의 유형 58
10. 거짓말의 심리적 동기 63
11. 거짓말의 성공 유형 70
12. 거짓말의 실패 요인 76
제2편 거짓말 탐지 기법 83
13. 기만의 감정 85
14. 기만의 감정 요소 89
15. 기만의 발각 공포 91
16. 기만의 죄책감 95
17. 기만의 수치심 100
18. 기만의 쾌감 106
19. 행동 탄로의 이유 112
20. 속임수 118
21. 속이는 자의 특성 124
22. 속임수 전략 128
23. 속이는 사람의 행동 특징 132
24. 속이는 자의 일반적 반응 136
25. 속임수 탐지의 일반 원칙 141
26. 속임수 탐지 단서 146
27. 언어단서 150
28. 준언어단서 158
29. 신체단서 164
30. 안면단서 170
31. 기본감정 178
32. 몸동작 단서 181
33. 머리 단서 186
34. 어깨 단서 190
35. 얼굴 표정 193
36. 눈 동작 단서 197
37. 눈 접촉 단서 201
38. 눈물 단서 205
39. 눈 깜빡임 단서 209
40. 코 단서 213
41. 입과 혀 단서 217
42. 턱 단서 221
43. 팔 단서 224
44. 손 단서 228
45. 다리 단서 233
46. 발 단서 237
참고 문헌 242
찾아보기 244
본 「거짓말의 역설: 속이는 자와 속는 자」는 거짓말 탐지에 관한 행동과학적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단순히 거짓말을 도덕적 잘못으로 간주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거짓말이 발생하는 심리적 · 사회적 배경을 깊이 있게 분석함으로써 거짓말의 본질을 이해하게 해준다. 다양한 학문적 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거짓말의 동기와 유형,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성공하거나 실패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거짓말을 하는 사람의 행동 특성과 심리 반응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해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독자는 거짓말의 탐지를 단순한 직감이나 경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분석적 틀 속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짓말을 사회적 맥락에서 바라보게 함으로써, 개인의 결함이나 윤리의 문제로만 해석하는 한계를 넘어서는 통찰을 제공한다.
유순근(柳舜根)
∙ 전 숭실대학교 초빙교수
∙ 전 한림대학교 교수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 숭실대학교 대학원(경영학 박사)
∙ 법무부장관상 수상
[주요 저서]
∙ 강화학파: 산수의 기쁨을 마음에 담아 (퍼플)
∙ The Art of Timing: The Second Part of the I Ching (Amazon)
∙ The Art of Timing: The First Part of the I Ching (Amazon)
∙ A Bird that Flies Far Sees Far (Amazon)
∙ 때를 기다리고 준비하는 지혜 주역 하경 (퍼플)
∙ 때를 기다리고 준비하는 지혜 주역 상경 (퍼플)
∙ 과거제도와 장원급제 답안해설 : 억위보장(抑爲保障) (퍼플)
∙ 험한 세상을 사는 처세술 주역 해설 하경 (박문사)
∙ 험한 세상을 사는 처세술 주역 해설 상경 (박문사)
∙ 평생 읽는 이야기 論語 해설 하편 (박문사)
∙ 평생 읽는 이야기 論語 해설 상편 (박문사)
∙ A+ 논술과 논문 작성법 개정판 (박영사)
∙ 지옥에서도 악마들끼리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박문사)
∙ 부의 수직 상승 : 아이디어에 길을 묻다 (박문사)
∙ 행동변화 이론과 실제 (박문사)
∙ A+ 논문통계분석 : SPSS와 AMOS의 분석·해석 (유정제 공저, 진샘미디어)
∙ 벤처창업과 경영 4판 (박영사)
∙ 창업을 디자인하라 2판 (무역경영사)
∙ 섹세스 시크릿 (박문사)
∙ 신제품개발론 (박영사)
∙ 글로벌 리더를 위한 전략경영 (박영사)
∙ 논리와 오류 : 비판적 사고와 논증 3판, 2018년 세종도서 (박영사)
∙ 센스 경영학 (진샘미디어)
∙ 창업 온·오프 마케팅 (박영사)
∙ 창의적 신제품개발 2판 (진샘미디어)
∙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무역경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