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교실 토론 시리즈] 올림픽과 우리
올림픽을 통해 본 평화

[교실 토론 시리즈] 올림픽과 우리

지은이 : 오연주, 박경수
출간일 : 2024-11-15
ISBN : 9791139027679
판매가 : 9,000원
포멧 : PDF
판매서점

책소개

「마스크 : 얼굴 가리기의 문화현상」에 이어 ‘교실토론 시리즈’의 두 번째 책으로 여러분과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교실 토론 활동에 초점을 둔 교재입니다. 토론 중심으로 기존 교과 단원을 새롭게 구성해보고 싶은 선생님들과 설명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한 학생들을 위한 교재입니다. 교과 수업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 활동이나 동아리 활동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책은 ‘올림픽’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올림픽은 여러 운동 경기가 이루어지는 하나의 체전을 넘어서 100여 년 동안 지속된 전 세계인이 참여하는 화합의 장이자 문화행사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부제를 ‘올림픽을 통해 본 평화’로 붙여 보았습니다. 이 책에서는 올림픽을 둘러싼 국가 간의 경합과 국제 관계와 관련된 여러 쟁점을 다루어 국제평화에 대한 관심과 태도를 기르고자 합니다. 또한, 갈등에 직면한 우리 삶 속에서의 문제들을 통해 내적 평화를 지향하는 지혜를 얻고, 올림픽 개최로 드러난 현실 사회 문제를 조명함으로써 사회적 평화를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인식과 태도를 기르고자 합니다.
이 교재는 토론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 교실 상황에서 어렵지 않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토론할 각 쟁점에 대해 공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풍부한 사례를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토론할 질문과 활동과제를 제시하였습니다.
여러분은 이 책에서 제안한 여러 쟁점에 대해 자신이 선택한 고유의 입장을 가지고 토론에 참여하시면 됩니다. 토론의 형식은 교실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을 것입니다. 교실 전체 학생이 동시에 모두 참여할 수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일부 학생들이 직접 구두 토론에 참여하고, 그 외의 학생은 그들을 에워싸고 관찰하는 토론형식(이른바 '어항형')이나 3인을 한 조로 구성하고 이들 중 2인이 토론 준비를 돕는 보조자가 되고 1인이 토론자가 되어 조대 조로 토론하고, 서로 돌아가며 역할을 맡는 협동적인 토론형식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조용히 책을 읽고 요약해 기억하는 것도 공부하는 하나의 방법이지만, 서로 다른 입장과 정보를 가진 사람들과 토론하는 것이 자신을 성장시키는 더 나은 방법이 될 때가 많습니다. 토론을 통해서 우리는 어떤 문제를 쉽게 판단하지 않게 되고, 자기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적으로 표현해보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토론은 자신의 관점을 다른 사람의 관점과 견주게 되고 자신보다 더 나은 견해와 아이디어로 유연하게 수정해나가는 경험을 얻게 되기 때문에 성숙한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해줍니다. 교실에는 다양한 생각을 가진 친구들이 많습니다.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동료들과 토론하는 것은 소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2024년 10월

오연주 올림

목차

제1부. 올림픽과 내적 평화
올림픽을 신들에게 지내는 제사에서 세계적인 체전으로! 2
쿠베르탱의 독백 2
토론할 만한 쟁점 9
나는 어떻게 해야 평화를 얻을 수 있을까? 15
경기 중 레이스를 포기한 스미스의 이야기 15
경기에 최선을 다한 찰스의 이야기 15
어떤 여성 선수의 고민 17
토론할 만한 쟁점 18
도전할 만한 쟁점 19

제2부. 올림픽과 세계 평화
올림픽은 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을까? 22
고대 올림피아 제전 기간의 휴전 협정 22
근대 올림픽의 휴전 선언문 24
고대 올림픽의 휴전 협정 위반과 관련한 대표적 사례 25
근대 올림픽의 휴전 협정 위반과 관련한 대표적 사례 25
토론할 만한 쟁점 27
근대 올림픽 참여국을 통해 본 국제 관계의 이해 30
역대 근대 올림픽의 참여 국가 현황 30
토론할 만한 쟁점 34
도전할 만한 쟁점 37

제3부. 올림픽과 사회적 평화
올림픽으로부터 감추어진 사람들 40
1988 서울 올림픽 개최로 삶의 터전을 잃은 김철수(가명) 씨와의 인터뷰 40
1980년대 서울을 재개발했던 도시계획과 공무원 박준형(가명) 씨와의 인터뷰 43
토론할 만한 쟁점 46
올림픽으로 드러난 젠더 문제 50
고대 올림픽에 출전한 여성의 이야기 50
근대 올림픽에 출전한 여성의 이야기 50
토론할 만한 쟁점 53
도전할 만한 쟁점 54
올림픽이 남겨놓은 하나의 과제 61
올림픽 개회식에서 있었던 일 61
토론할 만한 쟁점 64
도전할 만한 쟁점 65
올림픽으로 잃어버린 생태계 70
동계 올림픽 개최로 알프스 산맥에서 있었던 일 70
하계 올림픽 개최로 센 강에서 있었던 일 72
토론할 만한 쟁점 75
숙의할 만한 쟁점 79

부록
토론 배치 86
토론 참여 루브릭 88
참고문헌 90
저자 소개 92

책리뷰

저자소개

오연주(吳連珠, Oh Yeon Ju)
2007년부터 충북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로서 예비 사회과 교사들을 양성하고 있다. 교사와 학생의 정치사회화 과정, 초기 미국 사회과 역사, 그리고 쟁점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최근 사회과 교재 개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교실 수업을 위한 사회과 교재로 「활동으로 배우는 국제정치(2017)」, 「활동으로 배우는 사회문제 탐구(2019)」, 「활동으로 배우는 통합사회(2020)」, 「마스크: 얼굴 가리기의 문화 현상(2023)」를 개발하였다.

박경수(朴敬洙, Park Kyung Su)
충북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사회과 교육과정과 민주시민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현재 쟁점 중심 교육을 현장에 적용하는 정갈한 교재로 담으려는 노력에 몰두하고 있다.